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caea/난이도 표기 문제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불렙, 물렙, 판정 주의의 서술 기준을 1레벨 이상의 난이도 차이로 두고, 난이도의 기준을 Full Recall 난이도로 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불렙, 물렙, 판정 주의의 서술 기준을 1레벨 이상의 난이도 차이로 두고, 난이도의 기준을 Full Recall 난이도로 한다.
토론
- 불상수/물상수 기준을 추가하고 개인차의 기준을 불상수 및 물상수 조건 충족으로 완화한다.
토론
- 개인차 기준을 레벨 기준과 상수 기준으로 분리한다.
토론
- 모든 구분 기준의 색상을 고정하며, 상수 개인차 및 패턴밀집, 판정 주의 기준의 색상을 변경한다.
토론
- 불렙, 물렙, 판정 주의의 작성 기준을 1단계 이상의 난이도 차이로 수정한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레벨 9 === * [[ENERGY SYNERGY MATRIX|{{{#red ENERGY SYNERGY MATRIX FTR}}}]] [9.6/Extend Archive 1] - 9.6이라는 9레벨에서 가장 높은 보면상수를 배정받았지만, 계속 나오는 스카이-플로어 엇박 패턴과 중후반에 수시로 나오는 손교차 아크 패턴 등이 9레벨 치고 까다로워 불렙으로 평가받는다. * [[Head BONK ache|{{{#red Head BONK ache FTR}}}]] [9.4/Memory Archive] - 16비트 및 12비트 플로어+스카이 복합연타가 수시로 등장하여 9레벨에 어울리지 않는 손배치와 지력을 요구한다. 보정이 되어있어 한지점만 꾹 눌러도 처리가 되는 아크가 대부분이라 초견에 비하면 난이도는 점점 낮아지지만 연타는 여전히 까다롭기에 불렙이라는 의견이 많으며 연타에 익숙해져 적정이라는 사람들도 보면상수가 최소 9.6은 돼야 하지 않냐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 [[In Vain|{{{#red In Vain FTR}}}]] [9.5/Absolute Nihil] - 양손을 길게 꼬아놓은 아크패턴의 난이도가 9+의 [[Corruption(Arcaea)|Corruption]]에 준하는 수준이라 9렙치고는 심하게 난해하다는 평이 많다. 풀리콜도 어렵지만 9렙 중상위에 처음 도전하는 수준이라면 꼼짝없이 폭사할만한 수준. * [[Lazy Addiction|{{{#red Lazy Addiction}}} {{{#darkviolet FTR}}}]] [9.6/O.N.G.E.K.I.] - 9레벨 치고는 손꼬임이 심하고 처리가 어려운 패턴들이 많아서 난이도가 높은 편이며, 손꼬임이 개인차가 큰 요소라 사람에 따라서 같은 날 업데이트된 [[Dazzle hop]]보다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 [[Purple Verse|{{{#red Purple Verse}}} {{{#darkviolet FTR}}}]] [9.6/Extend Archive 1] - 기본적으로 9레벨에선 보기 힘든 난잡한 아크+스카이 노트 복합 패턴이 난이도의 주범인 보면으로 [[Red and Blue]]와 [[CROSS†OVER]]의 강화판이라는 평가를 갖는다. 박자가 정직하기 때문에 이 복합 패턴을 무난히 처리할 수 있는 숙련된 유저라면 스코어링, FR와 PM 모두 난이도가 하락하지만, 기본적으로 동레벨대에서 등장하지 않는 난해한 패턴 때문에 이 패턴을 무난히 처리할 수 없다면 웬만한 9+와 10레벨보다도 스코어링이 힘들 수 있는 보면이다. * [[Infinity Heaven|{{{#red Infinity}}} {{{#darkviolet Heaven}}} {{{#goldenrod BYD}}}]] [9.6/Arcaea] - 초반부터 손꼬임을 유발하는 아크가 등장하고 SOUNDWiTCH, Letheaus 등의 채보에서 등장하는 따닥이가 섞인 계단[* 1223 등과 같이 처리 자체는 트릴이라 어렵지 않으나, 가독성이 좋지 않아 익숙해지기 전에는 어려운 패턴이다.] 폭타가 2번 길게 16비트로 몰아친다. 패턴 자체는 트릴로 쳐낼 수 있어 어렵지 않게 처리가 가능함에도 가독성이 좋지 않고 비슷한 패턴이 등장하는 다른 곡들에 비해 배치가 복잡하게 설계되어 있어 손배치와 타점을 제대로 잡지 않으면 새기 일수다. 해당 패턴에 익숙한 유저의 경우 9레벨 상위권 수준으로 느껴질 수 있으나, 대체로는 9+ 중하위로 평가하고 개인차에 따라 9+ 상위이상으로 체감 난이도가 오를 수 있다. * [[白道、多希望羊と信じありく。|{{{#red LunarOrbit}}} {{{#darkviolet -believe in the Espebranch road-}}} {{{#goldenrod FTR}}}]] [9.6/Arcaea] - 9렙중에서 상위~최상위에 위치에 있는 곡. 전체적으로 손 교차의 향연과 아크 시작점 낚시, 중반의 트릴지대로 이루어져 있는 곡이다. 특히 하이라이트의 일부 아크는 손 위치를 반대로 잡으면 그대로 크게 말린다. 곡의 난이도가 대부분 아크에 몰려있어 아크에 강하다면 난이도가 중상위권까지 내려가지만, 아크에 약하다면 9+ 하위까지 올라갈 수 있다. * [[dropdead|{{{#red drop}}}{{{#darkviolet dead}}} {{{#888 PRS}}}]] [9.5/Memory Archive] - V6.0 이전까지 PRS 난이도 보스곡. 초반부와 중후반부에 등장하는 24비트, 16비트 트릴로 인해 PM 난이도도 높을 뿐더러, 중반/후반 도입에 등장하는 아크 위치 반전 패턴과 중후반의 끊긴 아크로 인해 Present 채보임에도 개인차에 따라 난이도가 10급 이상으로 치솟을 수 있다. 또, 아크 위치 반전을 조이콘으로 플레이할 경우 방향을 헷갈리기가 굉장히 쉽다. * [[carmine:scythe|{{{#red carmine:}}}{{{#goldenrod scythe}}} {{{#turquoise FTR}}}]] [9.6/Memory Archive] - 초반부터 밀어붙이는 따닥이 패턴, 플로어-스카이 폴리리듬, 중반부 드럼파트에 맞춰 치는 연타, 수시로 튀어나오는 트릴, 최후반의 파악하기 굉장히 난해한 2-1-2-1 패턴 등으로 무장해 개편 전에도 까다로운 9레벨 취급을 받았으나 난이도 조정 후에도 9레벨을 그대로 달고 있다. 스코어링 및 FR 난이도는 다른 9+ 채보들과 비교해도 전혀 꿇리지 않는 수준. 그리고 꽤나 난해한 박자가 제법 나와 PM은 아예 10레벨 수준이다. * [[Designant.#Present|{{{#red Designant.}}} {{{#turquoise PRS}}}]] [9.6/Lucent Historia] - 곡 자체 변속과 스크롤 변속까지 겹쳐있어 PM과 이론치 난이도가 극악하다. 그 외에도 9렙 최다 노트수를 기록할 정도로 전체적으로 밀도가 높아 체력소모가 심한데다가, 후살 200BPM의 복합트릴 폭타는 9렙의 범주를 넘어선다. * [[Aegleseeker#Present|{{{#salmon Aegleseeker PRS}}}]] [9.1/Esoteric Order] - 패턴이 열화되었다고는 하나 BPM 234의 속도는 9렙 안에서도 최상위의 속도이고 후반부의 아크는 은근히 탈선이 나기 쉬운 구조라 피지컬이 약하거나 후반부 아크 패턴에서 막히면 체감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다. 다른 9렙 중상위 채보와 비교해도 꿇리지 않는 난이도라 체감 난이도는 최소 9.3 이상이다. * [[Crystal Gravity|{{{#salmon Crystal Gravity FTR}}}]] [9.4/Esoteric Order] - 아크를 잡으면서 중간중간 나오는 노트를 처리해주거나 롱노트를 눌러준채 양쪽에서 등장하는 플로어 노트를 처리하는등 손교차를 필요로 하는 패턴이 자주등장하여 패턴 적응력에 따라 적정이냐 불렙이냐로 개인차가 갈리는편이다. 다만, 9.4보다 높게 잡아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편. * [[Tempestissimo#Present|{{{#salmon Tempestissimo PRS}}}]] [9.5/Black Fate] - 초반 한 손 8비트 연타, 첫 드랍의 아크+노트 발광, 후살 폭타에서 이가 빠진 스카이노트 트릴 등 채보 곳곳에서 Future 난이도 열화가 덜 된 듯한 부분들이 존재하고 보면 상수 역시 9.5로 9레벨 상위권에 해당하는 상수를 배정받았지만 이마저도 낮다는 의견이 많다. * [[Vexaria|{{{#salmon Vexaria BYD}}}]] [9.0/Arcaea] - 이동폭이 매우 큰 아크, 가독성이 떨어지는 스카이 노트, 까다로운 동시치기와 원핸드 등 8레벨에서는 보기 힘든 패턴들로 채워져있다. 이 때문에 초견 난이도도 매우 높을 뿐더러, FR 난이도도 [[dropdead]] FTR과 비슷한 정도로 평가된다. Beyond 난이도에 약하면 난이도가 더 올라갈 수 있다. 결국 5.4 업데이트로 9레벨로 상향되었다. 다만 보면상수 9.0은 낮다는 의견이 많으며 9.2~9.3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편.[* 다만 Beyond 난이도에 강하면 적정 상수로 여겨질 수 있다.] * [[Used to be|{{{#salmon Used}}} {{{#goldenrod to be}}} {{{#turquoise FTR}}}]] [9.2/Cytus II] - 다른 부분도 보면상수에 비해 어려운 편이지만, 중반에 이례적인 '''홀드+아크+스카이 5동타 패턴'''이 나와 상당히 당황할 수 있다.[* 이런 패턴은 [[Testify|Final Verdict 챕터의 최종 히든곡]] 에서나 볼 수 있는 패턴이다!] * [[Galactic Love|{{{#blue Galactic Love FTR}}}]] [9.0/Memory Archive] - 초반에 나오는 교차하는 플로어 노트의 손꼬임을 제외하면 9레벨에 맞는 패턴이 거의 없다. 또한 [[Jump(Arcaea)|Jump]]와 마찬가지로 16비트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같은 날에 업데이트된 8렙 곡인 [[無法地点|Lawless Point]]와 난이도를 바꿔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 * [[Jump(Arcaea)|{{{#blue Jump FTR}}}]] [9.0/Ephemeral Page] - 9레벨 이상이라면 있는 16비트가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곡이 느리고 패턴이 규칙적이며 박자가 강렬하여 판정 맞추기도 매우 쉽다. 대신 아크의 이동 폭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 적응은 필요하다. * [[Flyburg and Endroll|{{{#blue Flyburg}}} {{{#darkviolet and}}} {{{#goldenrod Endroll}}} {{{#888 FTR}}}]] [9.0/Crimson Solace] - 전체적으로 아주 짧게나오는 몇몇 트릴, 후반부의 회전 아크 패턴을 제외하면 8렙수준의 난이도이다. 중반과 후반에 두번등장하는 아크를 회전시켜주면서 양옆에서 나오는 롱놋을 치는 게 이곡의 핵심이지만 그마저도 손꼬임이 심하지않고 롱놋뒤에 세번씩 등장하는 플로어노트만 주의하면 Far가 나올일도 거의 없기에 물렙이라 평가받는다. 다만 회전 아크 패턴에 적응을 쉽게 못하고 중간 나오는 손꼬임 단타에 적절한 대처를 못할 경우 9레벨 중급까지 난이도가 오를 수 있다. 스위치 버전에서는 최후살 소용돌이 아크를 처리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고, 손꼬임을 유발하는 롱노트 넘겨짚기 패턴을 아주 쉽게 처리 가능하여 안그래도 쉬운 난이도가 더 쉬워졌다. * [[La'qryma of the Wasteland|{{{#blue La'qryma of the Wasteland}}} {{{#turquoise FTR}}}]] [9.1/Memory Archive] - 딱히 어려운 구간이 없고, 전체적으로 노트 배치가 간단하고 한산하게 나오며, 이 채보에서 가장 어렵다고 평가되는 트릴도 8렙을 시원하게 건드릴 정도면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어 전반적으로 보면상수 8.8.~8.9 정도 난이도로 본다. 다만 엇박이 꽤나 많이 있어서 PM 난이도는 9렙에 적절하니 주의. 그리고 초반 아크에서 빨간색이 은근 많이 나니 방심하지 말자. * [[Life is PIANO#s-7|{{{#blue Life is PIANO}}} {{{#turquoise FTR}}}]] [9.1/Extend Archive 1] FTR 9레벨 중에서 노트 수가 제일 적고, 중반의 16비트 스카이 + 플로어 연타 패턴[* 그런데 PM으로 들어가면 이 패턴이 오히려 발목을 잡는다...]만 조심하면 무난하게 FR을 딸 수 있다. 그래서인지 동레벨 중에서 하위권 내지는 물렙 취급. * [[Distorted Fate#Arcaea|{{{#89F Distorted Fate FTR}}}]] [9.6/Memory Archive] - ETR 채보와 마찬가지로 연타나 트릴 등 지력위주의 채보이다. 그러나 딱히 9레벨 상위권이라 불릴 만한 기교는 거의 없어 물상수 취급받는다. * [[HELLOHELL#Arcaea|{{{#89F HELLOHELL ETR}}}]] [9.4/World Extend 3] - 대부분 아크 원핸드 위주의 패턴이나, 중간의 연타정도를 제외하면 밀도가 높은것도 아니고 손꼬기도 그닥 어렵지 않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는 9레벨 입문~하위수준까지 떨어진다. * [[Antithese(Arcaea)|{{{#darkviolet Antithese BYD}}}]] [9.6/Absolute Reason] - 특이한 패턴이 많아 초견 난이도가 매우 높다. 아크가 중간에 색이 바뀐다거나, 손을 꼬아서 쳐야 하는 트릴 등은 초견에 처리하기가 쉽지 않다. 중반에 나오는 동타 패턴은 화면을 넓게 쓰는 비욘드 난이도 특성상 손의 움직임이 많아 판정이 새기 쉽고, 이러한 요인들이 스코어링을 매우 까다롭게 만든다. 손꼬임에 특히 약한 경우 난이도가 불렙까지 치솟을 수 있고, 적정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최소 상수 9.6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 결국 6.0때 9.6으로 상향되었지만 여전히 개인차에 따라 불렙으로 느껴질 수는 있다. * [[Arghena#Present|{{{#darkviolet Arghena PRS}}}]] [9.6/Severed Eden] - Present 난이도에서는 보기 힘든 손꼬임이 자주 등장한다. 사실상 Future/Eternal에 가까운 채보. 다른 Future 9렙 채보들과 비교해도 보기 힘든 손꼬임 때문에 개인차에 따라서 9+ 중하위까지 체감 난이도가 올라갈 수 있다. * [[CROSS†OVER#Arcaea|{{{#darkviolet CROSS†OVER FTR}}}]] [9.4/Extend Archive 1] - 전반적으로 착시를 일으키는 아크가 많아 착시 패턴 특성상, 9 중하위에서 불렙 수준까지 개인차가 많이 갈리게 된다. * [[NULCTRL#Future|{{{#darkviolet NULCTRL FTR}}}]] [9.5/Arcaea] - 여러번 나오는 스크롤 정지기믹, 나선형 아크, 한손 연타 등 개인차가 크게 갈리는 패턴이 많다. 특히 후반부에 나오는 12비트 스카이노트 축연타에 플로어 노트가 1-4번 레인에서 번갈아 나오는 패턴은 PM를 방해하는 요주의 패턴이다. 게다가 노트 수는 9레벨 안에서 최하위이기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고, 개인차에 따라 9+레벨급으로 스코어가 안 나올 수도 있다. * [[OMAKENO Stroke#Future|{{{#darkviolet OMAKENO Stroke FTR}}}]] [9.5/Groove Coaster] - 중반부에 나오는 저속 스크롤의 스카이 노트 축연타에서 개인차가 크게 갈린다. 그리고 최후반부에 240BPM의 8비트 연타를 한손으로 처리해야 하는 구간은 9레벨 안에서도 최상위의 노트 밀도이기 때문에 피지컬이 약하면 이 구간에서도 판정이 샐 수 있다. * [[Remind the Souls|{{{#darkviolet Remind the Souls FTR}}}]] [9.6/Arcaea] - 9렙치고 곡 밀도가 높은 편은 아니나 좌우 번갈아가면서 치는 3연타 트릴의 손배치가 후반으로 갈수록 난해해진다. 손배치 숙달 여부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크게 변할 수 있는 채보이다. * [[不浄な白い鳥#Future|{{{#darkviolet Impure Bird}}} {{{#goldenrod FTR}}}]] [9.4/Memory Archive] - 전반적으로 무난한 9렙이지만 후반부에서 BPM 184의 16비트 복합트릴 폭타패턴에서 순간적으로 난이도가 올라간다. 폭타구간이 상당히 길게 나오므로 이 구간을 버틸만큼의 체력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난이도가 9+급 불렙까지 올라갈 수 있다. * [[Lumia|{{{#darkviolet Lumia}}} {{{#turquoise BYD}}}]] [9.5/Eternal Core] - 전반적으로 손꼬임 구간이 매우 많아 손꼬임 적응도와 Beyond 난이도 지력에 따라 9렙 중위에서 10레벨 하위까지 심하게 갈린다. 그리고 최후반의 [[Memory Forest|박자를 잡기 힘든 패턴]]에 감속 패턴이 더해져 PM 및 이론치의 발목을 잡는다. 노트 수도 적어 이 패턴 하나로 스코어링 난이도까지 상승했다. * [[STAGER|{{{#darkviolet STAGER(ALL STAGE CLEAR)}}} {{{#turquoise FTR}}}]] [9.5/Tone Sphere] - 꼬인 아크가 꽤 많이 나오는데, 손꼬임 자체가 개인차가 큰 요소라 9레벨중에서 개인차가 매우 큰 곡에 속한다. 또한 곡 전체적으로 박자를 재기 힘든 노트 배치가 자주 등장하고, 최후반부 스카이 노트만으로 구성된 복합 노트[* 동시타와 단타, 따닥이 패턴이 섞여나온다.]의 가독성이 매우 떨어져 PM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 [[Red and Blue|{{{#darkviolet Red and Blue}}} {{{#888 FTR}}}]] [9.4/Arcaea] - 왼손으로 파란색 아크, 오른손으로 빨간색 아크를 긋도록 설계된 채보로, 조금이라도 손배치가 꼬일 시 곧바로 Lost로 이어진다. 특이 후반부 아크 패턴은 손가락을 잘못 잡으면 대량 실점 및 클리어 실패로 이어질 수 있으니 더욱 주의해야 한다. 스위치판에서는 아크의 입력 방향이 고정되어있어 아크 낚시를 훨씬 수월하게 넘길 수 있어 모바일판에 비해 개인차를 덜 타고 쉬워졌다. * [[ベースラインやってる?笑#s-3.5|{{{#plum Can I Friend You on Bassbook? lol FTR}}}]] [9.3/Memory Archive] - 조금이라도 타이밍을 놓치면 곧바로 새는 아크 패턴과 1-2-2-2-2-2 스윙 리듬 구간과 2동타+따닥이 또한 개인차가 크게 갈린다. * [[Rugie|{{{#plum Rugie FTR}}}]] [9.3/Arcaea] - 하나의 아크에서 둘로 갈라지는 아크들을 동시에 처리하는 패턴이 주를 이룬다. 9레벨 이하 수준에서는 꽤나 생소한 패턴이기 때문에 이 패턴의 숙련도에 따라 물상수부터 불상수까지 개인차가 크게 갈린다. * [[Strongholds|{{{#plum Strongholds FTR}}}]] [9.2/Binary Enfold] - 구채보 특유의 불친절한 손배치가 자주 나온다. 9를 벗어나는 수준의 개인차까지는 아니지만, 9.2 치고 쉽다는 의견과 어렵다는 의견이 동시에 보인다. * [[Alice à la mode#Arcaea|{{{#plum Alice à la}}} {{{#goldenrod mode FTR}}}]] [9.2/Ephemeral Page] - 중반부의 난해한 아크 손교차 패턴으로 인해 개인차가 갈리는 편으로, 채보 난이도의 대부분이 해당 파트에 집중되어 있어 여기를 잘 적응하는 것이 FR을 위한 가장 큰 관건이다. * [[Avant Raze|{{{#goldenrod Avant Raze FTR}}}]] [9.6/Memory Archive] - 난해한 아크 배치가 주가 되는 패턴으로 난이도가 꼬이는 아크의 처리에 모여있다. 다만 날먹할 수 있는 처리법을 이용하면 최후반부 아크를 제외하고는 보면상수보다도 체감 난이도가 조금 내려간다. * [[Grievous Lady|{{{#goldenrod Grievous Lady PRS}}}]] [9.3/Vicious Labyrinth] - 4동 홀드가 2번 나오고, 후살 16비트에서 BPM이 빠르고 노트 배치가 불규칙적이라 9레벨 중상위권까지 올라간다. 나머지 파트는 전반적으로 9렙 치고는 정직하고 가독성 높은 패턴으로만 이루어져 9렙 치고는 쉬운 편. * [[心(온게키)|{{{#goldenrod Heart FTR}}}]] [9.6/O.N.G.E.K.I.] - 초반부는 8~8+ 레벨 수준으로 무난하나, 후살이 9렙은 물론이고 어지간한 9+ 하위권들까지 압살하는 폭타로 무장하고 있다. * [[Kanagawa Cyber Culvert|{{{#goldenrod Kanagawa Cyber Culvert FTR}}}]] [9.0/Arcaea] - 전체적으로 패턴이 단순하게 나오나 잠깐 나오는 24비트 플로어 폭타와 16비트 스카이 트릴 발광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ReviXy|{{{#goldenrod ReviXy FTR}}}]] [9.0/Arcaea] - 8레벨이었다가 승격된 케이스로 곡의 나머지는 무난한 편이나 저속 손꼬임 구간이 꽤 어려워 주의가 필요하다. * [[Sakura Fubuki|{{{#goldenrod Sakura Fubuki FTR}}}]] [9.4/Arcaea] - 전체적으로 난이도는 무난한 편이나, 초중반의 아크나 후살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 [[Teriqma|{{{#goldenrod Teriqma FTR}}}]] [9.4/Memory Archive]- 전반적인 난이도는 평이한데 중반부 24비트 따닥 부분에서 손 전체를 한 라인만큼 옮겨가며 처리해야 하는 계단 형식으로 된 패턴이 두 번 나온다. 그리고 그 외에도 뭉개도 쉽게 넘어갈 수 있는 패턴에서 Pure 판정을 잡기 어려운 구간이 꽤 돼 FR 대비 PM난이도가 제법 높다. * [[Vindication|{{{#goldenrod Vindication FTR}}}]] [9.6/Adverse Prelude] - 일단 전체적인 난이도는 보면상수보다 확실히 쉬우나. 쉬는 구간이 많고 특정 구간에만 난이도가 몰려 있는. 전형적인 패턴 밀집곡의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후반부에 있는 아크 구간이 난이도가 9레벨 중에서 살인적인 수준이고 따닥이 패턴도 들어가 있어 고득점 스코어링과 이론치 난이도도 제법 되는 편. 그러나 아크 구간은 편법으로 손을 바꿔 쓸 수도 있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보자. * [[Blue Rose(Arcaea)|{{{#turquoise Blue Rose FTR}}}]] [9.1/Divided Heart] - 스윙 리듬과 엇박, 그리고 꽤 높은 BPM 덕에 9.1을 배정받은 곡 중 어렵게 나왔다. 같은 팩의 9.3짜리 곡인 [[Blocked Library]] 보다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 [[Equilibrium|{{{#turquoise Equilibrium FTR}}}]] [9.4/Black Fate] - 곡 중 두 번에 걸쳐 등장하는 까다로운 16비트 엇박 리듬, 중간에 잠깐 끼어드는 32비트 트릴 등으로 인해 이론치 난이도가 높다고 평가받는다. * [[Fairytale|{{{#turquoise Fairytale BYD}}}]] [9.5/Arcaea] - 클리어나 FR 난이도 자체는 무난한 편이지만 중반부터 등장하는 박자를 가늠하기 힘들정도의 가독성이 매우 떨어지는 복합트릴과 아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카이노트 등이 상당수의 세부 판정을 깎아먹으며, 이로인해 이론치 난이도가 손에 꼽을정도로 높은편이다. * [[Fracture Ray|{{{#turquoise Fracture Ray}}} {{{#turquoise PRS}}}]] [9.5/Luminous Sky] - FTR 패턴이 열화되었다고는 하나 여전히 난해한 초반, 후반부 폭타, 중반의 손교차와 건재한 10비트, 14비트 트릴 등이 세부 판정을 깎아먹고 손삑을 유발한다. * [[Party Vinyl|{{{#turquoise Party Vinyl FTR}}}]] [9.5/Crimson Solace] - 24비트 트릴 3개 + 16비트 트릴 2개를 붙여둔 패턴, 거리가 꽤 있는 16비트 한손 따닥 패턴 등으로 인해 까다로운 패턴이 많이 추가된 현재에도 PM 난이도가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 [[Faint Light|{{{#turquoise Faint Light}}} {{{#888 FTR}}}]] [9.1/Extend Archive 1] - 전체적으로 노트수가 적어 모바일 기준으로 9레벨 하위권으로 평가받으나 엇박이 너무 많아 초고득점 스코어링과 PM이 FR에 비해서 꽤 잘 안된다. 위에 설명했듯이 모바일 버전에서는 9레벨 하위권이나, 스위치 버전에서는 노트의 불규칙한 방향과 난해한 아크+노트 복합 패턴으로 헷갈림이 매우 심하여 9레벨 중상위권까지 올라간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